본문 바로가기

모바일 :: MOBILE/IT News/Information

조립PC 전파 인증, 방통위 발표에 논란 트위터 술렁

반응형
조립 PC 전파 인증이 논란에 휩싸이고, 각종 소셜 네트웍에서는 관련된 관심이 증폭되며 대표적인 트위터는 지금 술렁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립PC 전파 인증과 관련한 논란의 중심점은 바로 방송통신위원회인데요. 방송통신위원회의 국립전파연구원에서 조립PC의 대표적인 상권이 형성되어 있는 용산의 한 상점을 들려 전파인증과 관련한 자료를 요청한 것이 발단입니다. 현재 8일 기준으로 대표적인 조립PC 업체인 컴퓨존이 검찰의 조사를 받고 있으며, 관련 제품인 아이웍스의 제품 판매를 일시 중단한 상태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방통위는 모든 컴퓨터는 전파인증을 받아야 한다는 전파법에 의거해 조립PC도 당연히 전파인증을 받아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위법이며 앞으로 조립PC도 당연히 전파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데요. 이를 두고 관련업체 및 네티즌들이 SNS를 통해서 각자의 입장과 생각을 뜨겁게 이야기 하면서 논란이 일고, 찬반양론이 거세게 술렁이고 있습니다.

주로 반대하는 쪽의 입장은 각각의 컴퓨터 부품이 전파인증을 받은 상태이고, 조립PC의 특성상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서 여러제품들 중에서 각각 조립이 되므로 조립이 완성된 제품에 대해서 전파인증을 받으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찬성하는 쪽은 당연하다는 입장이며, 현재의 조립PC 시장은 말만 조립이지 대기업 완제품식으로 최적의 조립 완제품을 그대로 판매하고 있으므로 당연히 전파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찬성표를 던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바로 이 조립PC 전파 인증을 받는데 적게는 150만원에서 많게는 200만원 가까이 들어가게 되는데, 이 비용이 적지 않기 때문에 더욱 논란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립PC 전파 인증과 관련해서 대기업과는 상대적으로 중소업체들에게는 그 결과와 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울수 밖에 없는데요. 방통위의 대량으로 같은 스펙으로 양산을 해서 판매하는 업체에는 당연히 전파인증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은 무조건적으로 반대할 수는 없으며, 추후 이러한 대량생산의 기준이 어떤식으로 마무리 될지가 조립PC 전파 인증과 관련한 논란의 중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